- 연결된 장치의 수에 따라 주고받는 데이터의 속도가 낮아지지 않고 속도를 보장할 수 있는 것
- 충돌제어장치가 있어서 트래픽 용량이 많아져도 전체 노드에 영향을 끼치지 않음
- 프로세서는 전송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읽고, 패킷이 정해진 목적 포트로만 전송함
Dummy hub (허브)
- 매니지먼트 기능이 없고 , 모니터 기능도 없음→ 따라서 관리해 주는 기능이 없음
- OSI 계층 중 물리계층에서 데이터를 전달함 (1 계층 장비)
- 허브는 전기적인 신호를 재생함
- 허브로 연결되어 사용 중인 컴퓨터의 수가 많을수록 데이터의 처리 속도가 떨어짐
Router: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 주는 역할
- 3 계층 장비
- 네트워크상에 발생한 트래픽을 제어하며 네트워크상의 경로설정 정보를 가지고 최적의 경로를 설정함
- 분리된 네트워크를 연결해 주며 네트워크층 간을 연결해 주는 기능을 함
- 충돌 도메인을 나누어 주는 장비⭐
RAID: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묶어서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하는 기술⭐
- RAID는 운영체계에게 논리적으로는 하나의 하드디스크로 인식됨
- 모든 디스크의 스트립은 인터리브(Interleave)되어있으며 임의적으로 어드레싱됨
- RAID에는 중복되지 않는 어레이를 사용하는 형식은 없음
- RAID는 여러 개의 디스크로 구성된 디스크 배열을 의미함
⭐RAID종류 순서중요함
RAID 종류
설명
RAID-0⭐
- Striping (스트라이핑) → 속도가 빠르다 - 한쪽이 고장나면 나머지 한쪽도 고장남 - 스트립은 가지고 있지만 데이터를 중복해서 기록하지 않음
RAID-1⭐
- Mirroring (미러링) → 양쪽에 똑같이 복사가 된다 - 속도가 느려짐, 한쪽이 고장나도 사용가능 - 한 드라이브에 기록되는 모든 데이터를 다른 드라이브에 복사하여 다른 드라이브에 문제가 생길시 복구가 가능함 - 디스크에 있는 모든 데이터는 동시에 다른 디스크에 백업되어 디스크가 손상되어도 다른 디스크의 데이터를 사용할수 있음 - 최고의 성능과 고장대비 능력을 발휘함
RAID-2
- 해밍코드 방식 - 하드 하나가 고장나면 해밍코드를 기반으로 복구가능
RAID-3
- DISK에 parity 저장
RAID-4
- 3과 같지만 parity를 블록단위로 관리함
RAID-5⭐
- parity 회전방식으로 병목현상을 줄임 - 모든 드라이브와 교차하는 디스크 스트라이핑을 지원함 - 분산된 패리티로 인하여 동시에 작은 I/O트랙잭션을 갖는 네트워크에 적합함
- 윈도우 서버의 이벤트 뷰어에서 로그온, 파일, 관리자가 사용한 감사 이벤트 등을 포함해서
모든 감사된 이벤트를 보여주는 로그
- '이 이벤트에 작업 연결'은 이벤트 발생 시 특정 작업이 일어나도록 설정함
- '현재 로그 필터링'을 통해 특정 이벤트 로그만을 골라 볼 수 있음
- 사용자 지정보기를 XML로도 작성할 수 있음
QoS (Quality of Service) - 서비스 품질 정책
- 중요한 응용 프로그램의 고품질 성능을 보장함
- 송신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송신율을 우선순위를 지정함
-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필요한 서비스 수준을 제공할 수 있음
QoS 사용의 예
평소에는 전용회선 1G의 대역폭 중에 웹(500M), FTP(200M), 멀티미디어(300M) 사용하다 화상회의를 해야 하는 경우에는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웹을(350M) 줄이고, FTP(250M)와 멀티미디어(400M)의 대역폭을 증설하여 회의가 종료되는 시점에 원래의 대역폭으로 원상 복구시킴
Kerberos
- Active Directory 도메인 내에서 사용되는 주요 인증 메커니즘으로 사용자와 네트워크 서비스의 신분을 검증
하기 위해 티켓을 사용하는 정책
Power Shell
- 스크립트는 콘솔에서 대화형으로 사용될 수 있음
- 스크립트는 텍스트로 구성됨
-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음
- 기존에 사용하던 DOS 명령도 사용 가능
- 명령라인을 기반으로 시스템 및 서비스 등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음
- Microsoft, NET Framework을 기반으로 개발되어서 셀 기능을 지원함
- 관리자는 쉽게 명령라인으로 윈도우 서버를 관리할 수 있음
Power Shell 특징
- 파이프라인 지원: 파이프라인 문자를 사용해서 첫 번째 명령의 결과를 다음 명령의 입력으로 전달함
- 자동탭 완성 기능: 리눅스의 탭 기능을 사용하여 자동 완성 기능을 지원함
- 다중라인 입력: 세미콜론(;)을 사용하여 다중 명령을 실행함
- .NET Framework 언어: .NET Framework 기반으로 개발되어 동작함
Netstat 명령어로 알 수 있는 것
- 인터페이스 구성정보
- 라우팅 테이블 정보 (정보를 기록해놓고 보관하고 있는 것)
-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
- TCP / UDP 정보
- 프로토콜 , IP 정보
FTP 사이트 구성
- IIS관리자를 통해 웹 사이트에 FTP기능을 추가할 수 있음
- 특정 사용자 별로 읽기와 쓰기 권한 조절이 가능하여 익명사용자도 쓰기가 가능함
- FTP프로토콜로 쓰기권한을 얻어도 파일관리자가 NTFS쓰기권한이 없으면 쓰기가 불가능함